728x90
HTTP 통신흐름
브라우저에 www.naver.com을 치면 일어나는 과정
1. 웹브라우저에 www.naver.com 입력.
2. 사용자가 입력한 URL 주소 중 도메인 네임 부분을 DNS 서버에 검색하고,
DNS서버에서 해당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찾아온다.
3.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페이지 URL정보와 찾아온 IP주소를 포함하는 HTTP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HTTP요청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해당 IP주소의 컴퓨터로 전송된다.
4. HTTP 요청 메시지를 받은 컴퓨터(서버)는 웹 페이지 URL 정보 중 PATH와 HTTP Method에 맞는 액션을 취한다.
(여기서는 naver페이지를 띄우기 위해 필요한 html 등의 리소스를 찾을 것이다)
5. 생성된 응답 데이터는 또다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응답 메시지로 만들어지고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요청했던 컴퓨터(클라이언트)로 전송된다.
6. 도착한 HTTP응답 메시지는 웹브라우저에 의해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을 거쳐 화면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된다.
DNS(Domain Name System) : 범국제적 단위로 웹사이트의 IP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이어주는 환경/ 시스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OSI 7 Layer 중 4 계층인 전송계층에 속하는 중요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컴퓨터의 프로그램 간 데이터를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역할
HTTP Method : 대표적으로 GET, POST, PUT, DELETE
브라우저 렌더링은 다음 틸에 적겠습니다
728x90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5. JS 화살표 함수 사용 이유? TIL 23.01.18 (0) | 2023.01.18 |
---|---|
114. 브라우저 렌더링 TIL 23.01.17 (0) | 2023.01.17 |
112. Til 23.01.13 (0) | 2023.01.13 |
111. null 병합연산자 란? TIL 23.01.11 (0) | 2023.01.12 |
110. React Hook 이란? TIL 23.01.11 (0) | 2023.01.11 |
댓글